색이 다른 포켓몬(일: 色違い 영: Shiny Pokémon)은 평범한 포켓몬의 색과는 다른 색을 가진 포켓몬들을 일컫는다. 5세대 시리즈의 도감에선 특별한 색이라고 표기하였다. 한국 포켓몬 커뮤니티에서는 보통 일본 이름을 따 이로치가이, 이로치라고 부르고 있다. 게임에서는 2세대부터 등장하였다. 애니메이션에서는 EP021에서 부터 출현하였다..
보통은 보기 힘든 매우 드문 포켓몬이다. 일종의 돌연변이라고도 볼 수 있다.
색이 다른 포켓몬은 색이 다르다는 점 외에는 일반 포켓몬과 완전히 동일하다.
크리스탈 버전에서는 도트의 좌우가 다르다.
색이 다른 포켓몬이라고 해서 매번 다른 색으로 출현하는것은 아니고 각각 포켓몬마다 다른 색이 정해져 있어서 그 색으로 나오게 된다. 스타팅 포켓몬, 전설의 포켓몬, 환상의 포켓몬도 예외가 아니다. 또한 색이 다른 포켓몬은 진화해도 다른 색을 유지한다.[1]
게임에서의 등장[]
색이 다른 포켓몬 아이콘 모습 | |||||||||||||
GSC | 스타디움2 | FRLG | 4세대 | 5세대 | 6세대 | SMUSUM | SMUSUM 포켓몬 도감 |
LPLE | SwShBDSP | LA | LA 포켓몬 도감 |
포켓몬 홈 모바일 |
9세대 |
포켓몬이 출현할 때 특유의 반짝이는 이펙트를 가지고 나타나며, 스테이터스 화면의 포켓몬 스프라이트 부분에 작은 ★ 표시가 되어 있는 것으로 확인 가능하다. 또한 도감 번호가 붉은색으로 표시된다.
포켓몬 종류에 따라 확연히 차이가 드러나는 경우도 있고 거의 차이가 나지 않는 경우도 있다. 전자의 경우는 많으나 후자의 경우는 드물지만 대표적으로 색이 다른 플러시, 한카리아스, 트리토돈, 배쓰나이, 하마돈 등이 있으며, 공교롭게도 하나의 종에 2가지 외형이 존재하는 배쓰나이와 깝질무, 트리토돈은 모두 색이 다른 개체와 그렇지 않은 개체의 색이 매우 유사하다.
가장 유명한 색이 다른 포켓몬으로는 빨간 갸라도스로 금, 은, 크리스탈, 하트골드, 소울실버의 스토리 진행중 무조건 한번 만나게 된다. 색이 다른 포켓몬은 평범한 플레이 도중엔 만나기가 극도로 희박한 포켓몬이였으므로 플레이어들이 그 존재조차 모르고 지나갈 여지가 많았다. 그래서 색이 다른 포켓몬 시스템의 존재를 알리기 위한 역할을 맡은 빨간 갸라도스가 등장하게 되었다.
2세대[]
2세대에서의 색이 다른 포켓몬은 개체값으로 정해지게 된다.
공격력의 개체값이 2,3,6,7,10,11,14,15이고 다른 개체값이 모두 10인 포켓몬이 색이 다른 포켓몬이 된다. 야생에서는 1/8192의 확률로 출현한다. 알에서는 1/64의 확률로 출현. (부모 개체값이 방어 : A / 특수 : 2, A 일경우)
3세대[]
3세대에선 야생의 포켓몬과 만날 때나 알에서 부화할 때 1/8192의 확률로 출현한다.
4세대[]
4세대에선 3세대와 마찬가지로 야생의 포켓몬과 만날 때나 알에서 부화할 때 1/8192의 확률로 출현한다.
언어가 다른 소프트에서 온 포켓몬끼리 교배시키면 색이 다른 포켓몬이 태어날 확률이 1/1638이 된다.
다이아몬드·펄, 플라티나에선 포켓트레를 이용하여 야생의 출현확률을 상승시킬 수 있다. 최대 확률은 1/200이며, 40연쇄 이상부터 적용된다.
5세대[]
기본적인 확률은 1/8192로 4세대와 같으며, 국제교배 시의 색이 다른 포켓몬이 나올 확률이 1/1365로 올라간다.
또, 포켓몬스터 블랙/화이트 2 이후로는 빛나는부적이라는 아이템이 추가되어, 가지고 있으면 색이 다른 포켓몬과 조우할 확률이 1/2730으로 올라간다.
빛나는부적을 가지고 국제교배를 할때 색이 다른 포켓몬이 나올 확률이 1/1024로 올라간다.
6세대[]
색이 다른 포켓몬이 나올 기본 확률이 2배 증가하여 1/4096으로 상승했으며, 국제교배를 하면 확률이 1/682로 올라간다.
빛나는부적이 여전히 존재하여 가지고 있으면 확률은 1/1365로 올라간다.
빛나는부적을 가지고 국제교배를 할때 색이 다른 포켓몬이 나올 확률이 1/512로 올라간다.
또, 포켓트레가 부활했으며, 낚시로 낚이는 포켓몬 한정으로 연속낚시를 통해 색이 다른 포켓몬의 확률을 높일 수 있다.
프렌드사파리에서 색이 다른 포켓몬을 조우할 확률이 일반 야생에서 조우하는 것 보다 높다.
7세대[]
포켓몬스터 레츠고! 피카츄·레츠고! 이브이에서는 야생 포켓몬이 필드에 돌아다니기 때문에 색이 다른 포켓몬도 일정한 확률로 필드 상에 등장한다. 만약에 색이 다른 포켓몬이 나타난 장소에서 너무 멀리 이동하거나 다른 장소로 이동하면 사라진다.
연동 게임[]
- 포켓몬 스타디움: 닉네임을 지은 포켓몬의 색깔이 다르게 보이는 현상이 존재하지만 실제로 색이 다른 포켓몬인것은 아니다. 후속작에서는 이런 현상이 없어졌다.
- 포켓몬 스타디움2: 색이 다른 포켓몬만을 보여주는 옵션이 존재한다. 여기서의 색이 다른 포켓몬의 명칭은 Color Pokémon.
- 포켓몬 콜로세움: 메인 시리즈와 똑같이 1/8192의 확률로 등장한다. 마찬가지로 색이 다른 다크 포켓몬도 1/8192의 확률로 등장한다.
- 모두의 포켓몬 목장: 색이 다른 포켓몬 시스템이 존재한다. 다만 여기서 얻을 수 있는 뮤는 언제나 평소 색깔이다.
- 포켓몬 배틀 레볼루션: 색이 다른 포켓몬 시스템이 존재한다.
사이드 게임[]
- 포켓몬 불가사의 던전 빨강 구조대·파랑 구조대: 색이 다른 포켓몬 시스템이 존재하지 않는다.
- 포켓몬 불가사의 던전 시간의 탐험대·어둠의 탐험대, 하늘의 탐험대: 색이 다른 세레비가 등장한다. 하지만 실제 게임에선 색이 다른 포켓몬을 손에 넣는 것은 불가능하다.
- 포켓몬 불가사의 던전 Wii웨어 모험단: 오직 36마리의 포켓몬만이 색다른 모습으로 존재한다.
- 포켓몬 불가사의 던전 마그나게이트와 무한대 미궁: 색이 다른 칠색조가 나올 때가 있다. 색이 다른 칠색조는 더 강하고 평소와는 다른 기술을 사용한다.
- 포켓몬 레인저 시리즈: 존재하지 않는다.
- 난전! 포켓몬 스크램블: 희귀한 확률로 등장한다.
- 슈퍼 포켓몬 대격돌: 존재하지 않는다.
- 포켓몬+노부나가의 야망: 색이 다른 레쿠쟈가 노부나가의 링크 포켓몬으로 등장한다. 이 레쿠쟈는 포켓몬스터 블랙·화이트에서 배포된 적이 있다.
- 포켓몬 GO: 화면 상에 나타난 포켓몬을 터치하면 일정한 확률로 등장한다. 또한, 종종 이벤트 기간 동안에 특정 포켓몬의 이로치가 나오기도 한다.
얻을 수 없는 색이 다른 포켓몬[]
색이 다른 포켓몬이 나오지 않도록 게임상에서 의도적으로 조정된 포켓몬들이 있다. 이 포켓몬들은 치트나 버그를 사용하지 않고는 색다른 형태를 얻을 수 없다.
4세대까지는 이러한 의도적인 조정이 존재하지 않았기 때문에 게임상에서 포획이 가능한 포켓몬은 모두 색이 다른 포켓몬을 얻을 수 있었다. 다만 배포 포켓몬의 경우 색이 다른 포켓몬이 나오지 않도록 설정해둔 경우가 있다.
원래 얻을 수 없던 색이 다른 포켓몬이 배포를 통해 제한이 풀린 경우도 있다. {예: 아르세우스(일본판 한정), 게노세크트, 제르네아스, 이벨타르, 디안시(일본판 한정), 카푸꼬꼬꼭(일본판 한정)} 배포 뿐만 아니라 나중에 나온 게임을 통해서 제한이 풀리기도 한다.
- 2세대 이후: 뮤, 세레비(일본판 제외)
- 3세대 이후: 세레비
- 4세대 이후: 세레비, 아르세우스, 삐쭉귀 피츄
- 5세대 이후: 세레비, 아르세우스, 비크티니, 케르디오, 메로엣타, 레시라무, 제크로무
- 6세대 이후: 세레비, 비크티니, 케르디오, 메로엣타, 지가르데, 후파, 볼케니온, 옷갈아입기 피카츄
- 7세대 이후: 비크티니, 케르디오, 메로엣타, 지가르데, 후파, 볼케니온, 카푸나비나, 카푸브루루, 카푸느지느, 코스모그, 코스모움, 마기아나, 마샤도, 제라오라, 모자를 쓴 피카츄(너로정했다캡 제외), 파트너 포켓몬(피카츄, 이브이)
- 8세대 이후: 비크티니, 케르디오, 메로엣타, 후파, 볼케니온, 코스모그, 코스모움, 마기아나, 마샤도, 멜메탈(거다이맥스), 치고마, 우라오스(일격의 태세, 연격의 태세), 자루도, 블리자포스, 레이스포스, 버드렉스, 러브로스, 모자를 쓴 피카츄(너로정했다캡 제외)
- 9세대 이후: 비크티니, 케르디오, 후파, 볼케니온, 코스모그, 코스모움, 마기아나, 마샤도, 멜메탈(거다이맥스), 치고마, 우라오스(일격의 태세, 연격의 태세), 자루도, 블리자포스, 레이스포스, 버드렉스, 다투곰(붉은 달) 러브로스, 모으령(도보), 총지엔, 파오젠, 딩루, 위유이, 코라이돈, 미라이돈, 굽이치는물결, 무쇠잎새, 조타구, 이야후, 기로치, 오거폰, 꿰뚫는화염, 날뛰는우레, 무쇠암석, 무쇠감투, 테라파고스, 복숭악동, 모자를 쓴 피카츄(너로정했다캡 제외)
애니메이션에서의 등장[]
포켓몬스터 애니메이션 EP021에서 최초의 색이 다른 포켓몬인 분홍색 버터플이 등장하였고, 그후로 근근히 색이 다른 포켓몬이 등장하였다.
애니메이션에서 가장 인지도가 높은 색이 다른 포켓몬은 지우의 야부엉으로 주인공의 일행으로서 자주 등장하였기 때문이다. 한국의 애니메이션에서는 지우의 색이 다른 야부엉은 별난 야부엉이라고 불렸었다.
또한 EP088에서만 등장하는 핑귤열매를 먹은 포켓몬은 보통 색깔이 사라지고 핑크색이 되어버린다. 다만 핑귤열매를 먹지 않으면 다시 원래의 색으로 되돌아가기 때문에 색이 다른 포켓몬이라고 보기엔 어렵다.
작중에서 등장한 색이 다른 포켓몬[]
공통[]
- 갸라도스: 통칭 빨간 갸라도스.
- 라이코: 환영의 패왕 조로아크에서 등장 및 배포
- 앤테이: 환영의 패왕 조로아크에서 등장 및 배포
- 스이쿤: 환영의 패왕 조로아크에서 등장 및 배포
- 골루그: 잔타의 골루그(비크티니와 백의영웅 레시라무)
- 삼삼드래: 카리타의 삼삼드래(비크티니와 흑의영웅 제크로무)
- 게노세크트: 극장판 신의속도 게노세크트 뮤츠의각성에 등장 및 배포
- 레쿠쟈: 후파 : 광륜의 초마신에 등장 및 배포
게임[]
- 피츄: 통칭 피카츄 컬러 피츄.
- 액스라이즈: 블랙2 화이트2의 하나도감을 다 채운후 자연보호구역에서 등장한다.
- 딥상어동: 블랙2 한정으로 흑의마천루에서 구아버를 이긴 후에 노간주의 집에서 구아버에게 받을 수 있다.
- 미뇽: 화이트2 한정으로 백의수동에서 구아버를 이긴 후에 노간주의 집에서 구아버에게 받을 수 있다.
- 레쿠쟈: 포켓몬+노부나가의 야망에서 등장한다. 그리고 노부나가의 야망 발매 기념으로 메인 시리즈에서도 배포되었다.
- 켈리몬: 불가사의 던전 시리즈에서 등장한다. 일반 색이 다른 켈리몬과는 달리 보라색이다. [2]
- 세레비: 포켓몬 불가사의 던전 시간의 탐험대·어둠의 탐험대에서 등장한다.
애니메이션[]
- 버터플: EP021 최초의 색이 다른 포켓몬. 게임보다 먼저 등장했기 때문에 게임에서의 색이 다른 버터플과는 다른 분홍색이다.
- 야부엉: 지우의 야부엉
- 단단지: EP170에서 등장. 평범한 나무열매쥬스를 만드는 다른 단단지와는 달리 다른 포켓몬을 매료시키는 나무열매쥬스를 만들 수 있다.
- 스왈로: 은송의 스왈로
- 피츄: 삐쭉귀 피츄
- 메타그로스: DP117, 성호의 메타그로스
- 메타몽: DP173 마키나의 소지 포켓몬.
- 아리아도스: SS024에서 등장. 빛나를 위협하였다.
- 잉어킹: AG092, XY022에 등장
- 크리만: 이향의 크리만
- 루차불: XY051 카를의 소지 포켓몬.
- 신뇽: XY108 아멜리아의 소지 포켓몬.
- 나목령: XY117
- 갸라도스: 목호의 갸라도스, XY132 플라드리의 소지 포켓몬.
- 가디안: 볼케니온: 기계왕국의 비밀 키미아의 소지 포켓몬.
- 팬텀: 볼케니온: 기계왕국의 비밀 자비스의 소지 포켓몬.
- 전지충이 → 투구뿌논: 신철의 전지충이 → 신철의 투구뿌논
- 마기아나: 릴리에의 마기아나
- 피카츄: 피카라의 피카츄
- 고라파덕: 컬라바리의 고라파덕
- 세레비:
- 활화르바 → 불카모스:
- 찌리리공: 고우의 찌리리공
- 텅비드: 몬과 함께 지내고 있던 야생 포켓몬.
- 레쿠쟈: 루시아스의 레쿠쟈
- 조로아(히스이의 모습): 눈 석이는 보라에서 등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