등나무박사가 남아메리카 기아나 고지에서 발견한 환상의 포켓몬뮤의 유전자를 개조해 만든 포켓몬이다. 전투 능력 강화를 중시하며 개조한 결과 겉모습은 약간이나마 뮤와 닮았으나 크기, 성격, 공격성은 크게 달라지게 되었다. 또, 개조의 영향인지 뮤와 비교했을 때 능력치는 조금 올랐으나 배울 수 있는 기술의 수는 크게 줄어들었다. 매우 흉포해져서 결국 등나무박사조차 손쓸 수 없게 되었으며 폭주해 포켓몬저택을 폐허로 만든 뒤, 어디론가 사라졌다. 이후, 블루시티동굴 최심부에서 그의 모습을 볼 수 있다.
메가뮤츠X[]
뮤츠가 뮤츠나이트X를 사용하여 메가진화한 포켓몬. 메가뮤츠Y와 대조적으로 한층 커진 몸집과 표정에 강력함이 넘친다. 팔과 다리의 불룩한 근육이 지금까지의 뮤츠에게는 없었던 육탄전의 강함을 연상시킨다.
메가뮤츠Y[]
뮤츠가 뮤츠나이트Y를 사용하여 메가진화한 포켓몬. 모습이 보다 샤프해져, 항상 공중에 떠 있는 것처럼 보인다. 머리 뒷부분에 뻗어 있는 꼬리 같은 것은 강력한 사이코파워를 조종하기 위한 기관이라고 한다.
로켓단이 뮤의 세포를 이용해 뮤츠를 만들어 낼 계획을 세우고 그 지휘자는 대머리박사가 맡게 되었다.
하지만 뮤의 세포는 많이 부족하게 되고 대머리박사는 자신의 세포를 이용해 부족한 뮤츠의 세포를 채운다. 그렇게 만들어진 뮤츠는 로켓단의 연구소를 폭파시키고 도주.
실프 주식회사 전투 이후 레드는 블루시티동굴에 괴물이 살고 있다는 소문을 듣고 오게 됐지만 동굴 안에서 회오리 때문에 애먹고 있는 걸 대머리박사가 구출. 그 회오리를 만든 게 뮤츠라는 걸 알게 되고 대머리박사가 가지고 있던 마스터볼로 뮤츠를 포획. 그 후 대머리박사에게 넘기게 된다.
1년 후 스오우섬 전투에서 옐로와 대머리박사는 와타루를 막기 위해 싸우게 되고 대머리박사는 뮤츠를 이용해 와타루를 막으려고 하지만 실패.
2년 후 대머리박사는 뮤츠를 만들 때 역으로 들어온 뮤의 세포 때문에 몸이 많이 약화된 상태 대머리박사는 어쩔 수 없이 앤테이의 힘을 빌려 뮤의 세포를 다 태우고 뮤츠와 이별하게 된다.
몇 년 후 로켓단이 테오키스를 이용한다는 걸 안 뮤츠는 레드와 만나고 같이 로켓단을 막기 위해 싸우게 된다.
대난투 스매시브라더스 DX에서 숨겨진 플레이어블 캐릭터로 등장한다. X에선 등장하지 않는다.이후 3DS/Wii U에서 재참전 한다.3DS판,Wii U판 두버전 다 구입하면 무료로 배포 받을수 있다.
피규어 설명 (DX1):
피규어 설명 (DX2):
피규어 설명 (DX3):
피규어 설명 (X):유전포켓몬. 어느 과학자가 오랜 기간 연구를 거듭한 끝에 환상의 포켓몬 뮤의 유전자를 재조합해서 만들어 낸 인간의 손에서 태어난 포켓몬이다. 그러나 뮤와는 크기도 성격도 완전히 다르고 포켓몬 중에서 가장 난폭한 마음을 가지고 있다고 한다. 매우 뛰어난 전투 능력을 갖추고 있으며 에스퍼 타입의 기술을 쓴다.
포켓몬스터 극장판1기의 주인공이면서 2개의 극장판에 주연급으로 등장한 유래 없는 유명 포켓몬이다. (다만 두 극장판의 뮤츠는 서로 다른 개체라는 설정이 있다.) 또 포켓몬스터 극장판 최초로 살인을 암시하는 장면의 주인공이기도 하다.
홍련섬의 포켓몬저택에서 볼 수 있는 일기에 따르면 뮤츠는 남아메리카의 가이아나에서 발견된 뮤의 유전자를 통해 2월 6일 탄생하였으며(년도는 알 수 없음) 너무 흉폭하다는 기록을 끝으로 포켓몬저택을 폐허로 만들고 도망친 것 같다.
뮤츠는 1세대 포켓몬 중 특수 종족값 1위이면서 종족값 총합이 590으로 1세대 최강의 포켓몬이었다. 또 메가진화한 메가뮤츠X는 현재까지 모든 포켓몬을 통틀어 공격 종족값 1위이며, 메가뮤츠Y는 특수공격 종족값 1위이다. 둘 다 모든 포켓몬 중에서 종족값 총합이 780으로 1위이며, 메가레쿠쟈만 유일하게 같은 780의 종족값을 가지고 있다.